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 명상

<자기계발> 성공학 정보3-원하는 것을 결정하라

by myfreeman 2022. 2. 17.
반응형

내가 무엇을 싫어하고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아야 한다

 


이번 주제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결정하라는 것입니다. 이 말을 보면 너무나도 쉽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가만히 시간을 가지고 생각해 보면 내가 싫어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한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내가 어떤 것을 좋아하고, 어떤 것을 싫어하는지를 별로 생각해 보지 않고, 대체로 내가 선망하는 대상이 하는 것을 따라 하거나, 부모님이나 인생의 선배들이 말하는 것을 많이 따라 하고 배우게 된다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먹는 것 하나만 보더라고 내가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해본 적이 별로 없기 때문에 다른사람드이 주장하는 것을 마치 내가 그것을 좋아한다고 착각을 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자기 계발을 통해서 한 단계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나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모르는데 어떤 것을 이루려고 한다는 것은 목적 없이 아무 곳이나 가서 음식을 먹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자신이 원하는 것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을 해야 합니다. "하고 싶은 것", "되고 싶은 것", "가지고 싶은 것"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것들을 이루지 못하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자기가 원하는 것을 결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원하는 것을 결정하라


자신만의 소망목록을 만들어라

 


이렇게 자신이 원하는 것을 결정했다면, 이제는 자신만의 노트를 하나 준비합니다. 되도록 자주 볼 수 있는 환경에 노트를 놓고, 그 노트의 이름을 "소망 노트"라고 적고, 그 안에 <나의 소망> 목록을 만들면 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소망목록을 각각 30가지씩 정리해서 적으면 됩니다.

 

- 자신이 하고싶은것 30가지
- 자신이 가지고 싶은것 30가지
- 생을 마치기 전에 되고 싶은 30가지



이렇게 3가지의 항목을 기준으로 각각 30가지의 목록을 만들어서 적으면 됩니다. 보기에는 금방 적을 수 있을 것 같지만 막상 해보면 생각처럼 금방 적지 못하게 됩니다. 또한 이걸 작성하면서 자신을 한 번쯤 되돌아보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자신의 소망 노트에 소망 목록을 적 고난 뒤에는 시간이 날 때마나 그 노트를 보면서 의식적으로 각인을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반강제적으로 보면서 눈에 익히게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것들이 나 자신에게 스며들게 됩니다.

 


원하는 소망을 7가지 영역으로 구제적으로 나우어서 만든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소망하는 항목들을 정리할때, 그냥 마구잡이로 하는 것이 아니라 7가지의 영역으로 나누어 목록을 만들어야 합니다. 우리가 어떤 사건에 대한 것을 말하려 할 때 6가지 원칙을 기준으로 정리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등의 이런 원칙을 가지고 정리를 하는 것처럼, 소망 목록의 경우에도 7가지의 영역을 기준으로 나누어서 목록을 만드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것입니다. 7가지의 영역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망 목록을 작성하는 7가지 영역>

- 일과 경력
- 재정
- 기분전환과 여가시간
- 건강과 체력
- 인간관계
- 개인적인 목표
-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

위와 같이 소망 목록을 7가지의 원칙에 맞게 정리를 한다면, 보다 구체적인 소망 목록을 만들 수 있게 되고, 실현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렇게 정리한 소망목록을 써놓기만 하고, 방구석에 방치를 하게 되면, 그저 글씨 연습을 한 효과밖에는 없기 때문에 자신이 자주 볼 수 있는 곳에 놓고 반복적으로 노트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요사항>
- 자신이 써놓은 비전(소망)을 매일 아침에 확인한다.
- 최대한의 효과를 얻기 위해 비전을 공유한다.

댓글